윈도우10 레드스톤을 업그레이드 하고 나면 생기는 폴더 windows.old. 문제가 생겼을때 기존 시스템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마이크로스프트사에서 만들어 놓은 폴더 이다. 그냥 나둬도 상관 없지만 작은용량의 SSD를 사용하면 용량확보를 위해 지워주는게 좋다. 삭제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하면 권한이 어쩌고 하면서 진행이 되지 않는다. 삭제 권한을 줘야 하는데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아 래 - 1. 검색창에 cmd를 입력후 "명령프롬프트"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2. 명령프롬프트 창이 뜨면 아래 내용을 순서대로 입력하여 실행한다. 1) takeown /F c:\Windos.old\* /R /A /D Y 2) cacls c:\Windows.odl\*.* /T /grant administrators:F 3) rd ..
여느날 처럼 컴퓨터를 켜고 작업을 할려고 하는데 저장되어있는 모든 파일이 "xqoxizw"로 확장명이 변경되어 실행이 되지 않았다. 당연 강제로 열어도 알수 없는 문자로 내용을 알아볼수도 없었다. 구글링을 해도 해당 랜섬웨어는 처음인지 확인도 되지 않았다. 다 지워야하나 하고 생각하던중 문서가 저장되어있는 폴더마다. 아래와 같은 동일명의 파일들이 존재를 한다. "ALL YOUR DOCUMENTS PHOTOS DATABASES AND OTHER DATABASES AND OTHER IMPORTANT FILES HAVE BEEN ENCRYPTED!" 전형적인 랜섬웨어 수법이다. 파일내용을 확인하면 아래와 같다. 파일은 손상되지 않았으며 복구를 할려면 암호해독 프로그램을 받아서 해야하며, 타사프로그램으로 해독을..
ssd 용량 부족 문제 해결방법 잘 사용하다 갑자기 디스크 용량 부족메세지가 팝업될때가 있을것이다. 필자는1000대 이상의 시스템을 관리하면서 처음 ssd로 교체를 하고 디스크 용량 부족증상으로 인한 장애아닌 장애를 겪은 경우가 있다. 미사용 프로그램 삭제, 임시파일, 다운로드폴더, 휴지통비우기, 이전버전의 윈도우 다 지워도 계속해서 용량이 줄어든다. 정말 방법이 없었다. 인터넷에 나온 모든 방법을 동원해도 부족한 용량은 찾을수 없었다. 그러던 중 찾은 "SpaceSniffer" 프로그램이다. 개인용 상업용 모두 무료이다. 해당 파일을 실행하면 그림과 같은 화면이 팝업되며 어느폴더가 어느정도의 용량을 차지 하고 있는지를 표시해준다. 그림에는 이미 삭제가 되었지만 1000대의 컴퓨터 모두 Temp폴더와 L..
윈도우 비밀번호 변경 명령어 윈도우 계정 비밀번호를 변경 하려면 제어판 / 사용자계정 / 암호변경 메뉴로 들어가 변경해야한다. 로컬보안설정이 되어 있다면 변경하고 하루가 지나서 해야 변경이 가능하다. "입력한 암호가 정책요구 사항에 맞지 않습니다. 최소 암호 길이, 암호 복잡성 및 기록 요구 사항을 확인하십시오." 라는 메세지가 팝업된다. 잘못 입력해서 다시 변경하고자 할때도 하루를 기다려야 한다. 하루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변경 가능하게 하는 cmd 명령어를 알아보자. 시작버튼을 누르고 실행창에 cmd를 눌러 cmd 창으로 들어간다. net user 계정이름 변경하고자 할 비밀번호 를 입력하면 바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 C:\User\Administrator>net user administrator ..
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네트워크 공유 서버에 접속할 일이 많을것이다. 매번 들어갈때마다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들어가는건 상당히 귀찮은 일이다. 윈도우에서는 cmdkey 명령어로 자격증명을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cmdkey /add:대상이름 /user:사용자이름 /pass:암호 1. 예제) cmdkey /add:192.168.0.1 /user:홍길동 /pass:12345 해당 명령을 배치파일로 만들면 더블클릭만으로도 자격증명 저장이 가능하니 참으로 편리한 명령어다. 2. 예제) 메모장을 열고 아래 내용을 입력후 *.cmd 파일로 저장하면 된다. @echo off cmdkey /add:192.168.0.1 /user:홍길동 /pass:12345 end
윈도우7 공인인증서가 저장된 위치 공인인증서는 NPKI 폴더에 저장되어있다. 그런데 이놈의 NPKI 폴더를 아무리 찾아도 보이질 않는다. 왜? 숨겨진 폴더 안에 있어서 그렇다. C:\User\사용자계정\AppData\LocalLow 폴더안에 있다. 그러나 AppData 폴더가 숨겨져 있어 보이질 않는거다.여기서 숨겨진 폴더를 보이게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탐색기 창을 열고 왼쪽위에 구성을 눌러 폴더 및 검색옵션에 들어가 두번째 탭 보기를 누른후 그림과 같이 설정하면 찾기 수월할 것이다. NPKI 폴더를 통체로 USB 메모리 스틱이나 스마트폰에 복사해서 사용하면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가능하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장기동맛집
- 한글공부
- 윙크학습지
- 7세한글
- 7세영어
- 7세학습지
- 내돈내산
- 윙크무료체험
- 과태료
- 응급실
- 초등학습지
- 경주관광빅세일
- 초등입학준비
- 학습지추천
- 엄마표학습
- 경주시시설관리공단
- 윙크수학
- X 시리즈
- 화곡맛집
- 7세수학
- 자기주도학습
- bmw x
- 학습지윙크
- BMW
- 윙크학습
- 준대형 SUV
- 윙크
- 컨버터블
- 경주여행
- 경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