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자동차관련

BMW M3

HG Danmuji 2018. 11. 28. 17:47

 

BMW M3는 BMW의 후륜구동 컴팩드 세단인 BMW 3시리즈의 스포츠 버전으로 BMW의 자회사인 BMW M에서 제작했다.

첫 번째 M3가 1986년 E30 3시리즈를 기반으로 발표된 이후 지금까지도 BMW 3시리즈는 항상 M버전으로 발표되어 왔다.

 

E30 M3

1986년형 E30 3시리즈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E30 M3는, 2.3리터 직렬 4기통 S14B23엔진(줄여서 S14엔진)을 탑재하였다.

이 엔진은 다양한 BMW 엔진의 계보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기본적인 실린더 블록 형태는 2002모델과 320에서 쓰였던

M10 4실린더를 차용했고, 보어가 커지고 강화되어 BMW M88 직렬 6기통과 유사한 제원을 만들어냈다. 강력한 흡기를

위해 BMW M1과 M6에서 쓰였던 직렬 6기통 밸브 트레인과 실린더 헤드 설계가 적용되었음며, 그 결과 뛰어난 성늘을

낼 수 있었다.

E30 M3의 가장 큰 특징은 이 차량의 레이싱 혈통에 있다. 프로드라이브나 AC 슈니처같은 여타 레이싱팀 만큼이나

BMW에서 직접 이 차량을 출전시키기도 했고, 랠리, DTM, 호주 투어링카 레이스를 포함한 여러 레이스에 제한없이

출전하였다.

일반 도로용 M3가 생산된 주된 이유는 이 차량을 그룹 A 누어링 카 레이스의 인증을 받기 위해서 였다.

이 차량의 탄생의 도다른 이유중 하나는 1983년 메르세데스 벤츠에서 나온 W201190E의 2.3리터 16밸브 모델과

경쟁하기 위해서다. E30 M3가 생산 말년에 최고 수준의 경쟁을 하게 될때쯤, 레이스용 2.5리터 S14엔진은 자연흡기

340마력(250KW)를 생성해냈다.

처음 일반도로용 M3는 195마력(145 kW;195 PS)의 출력을 발생시켰다. 미국에서 판매되지 않은 에볼류션 모델은

2.3리터 배기량을 지니고 있었고, 새로운 배기장치와 개선된 캠 타이밍, 그리고 촉매없이 높아진 압축비로

215마력(160kW)을 발생시켰다. 이후에 600대 생산된 스포츠 에볼루션 모델은 엔진 배기량을 높여 2.5리터에서

238마력(175kW)을 발생시켰다. 이모델은 컨버터블 모델로 786대 생산되었는데, 모두 BMW의 독일 가칭 공장에서

수작업으로 생산되었다. 컨버터블 출시 당시 이 차는 215마력(160 kW)을 생성하였고, 그 당시엔 세계에서 가장빠른

4인승 컨버터블이었다.

 

E36 M3

1992년 2월 파리오토쇼에서 초기 M3의 후속 모델인 E36 M3 쿠페를 발표했다. 같은해 11월부터 정식으로

시판에 들어갔다.

E36 M3는 BMW E36 플랫폼을 기반으로 3.0리터(2990cc) 직렬 6기통 엔진(S50B30)을 장착하여 286마력을 낼 수 있었다.

처음 출시되었을때는 쿠페만 선택이 가능했으나, 94년 컨버터블과 세단형 M3를 선보엿다. 또한 E36 M3는 우핸들

모델로도 생산이 된 첫 M3이다.

1995년 여름, 쿠페와 세단은 새로운 3.2리터 S50B32엔진이 장착되어 321마력을 ㄴ래 수 있었고, 6단 기어박스 및 M5에서

사용되었던 제동장치가 채택되었다. 새로운 SMG 기어 박스는 옵션 품목이었다. 도한, 클리어 램프로 된 방향지시등과

새로운 휠이 장착되었다. 그러나 컨버터블 모델은 96년 봄까지 이러한 변화가 적용되지 못했다. 이 모델은 미국에서 판매

된 모델과는 다른 모델이기 때문에 유로모델로 부르고 잇다. 3.2리터 유로 모델은 M3 에볼루션 또는 에보라고도 부른다.

E36 M3는 미국에서 1995년 부터 판매되었다. 이때는 3.2리터의 240마력의 엔진이 장착되었고 현가장치도 유로 모델과는

달랐다. 마력을 낮추어 미국에 판매한 이유는 유로 버전의 엔진으로는 미국의 배기가스 배출 시험을 통과 할수 없었기 때

문이었다.

모든 E36 M3는 독일 레겐스부르크 공장에서 생산되엇다. E36M3는 단종될 때까지 쿠페 46,525대, 컨버터블 12,114대,

그리고 12,603대의 세단이 생산되었다. 1997년 12월 M3 세단이  생산이 중단되었으며, 쿠페는 1998년 말까지 생산됐다.

컨버터블 모델은 1999년 12월까지 생산되었다.

 

E46 M3

E46 M3는 새로운 직렬 6기통 3.2리터 BMW S54엔진을 장착하고 2000년 10월에 발표되었다. 당시 BMW 최초로 레드라인

8,000rpm에 달하던 고회전형 S54 엔진은 338마력에 370Nm의 토크를 낼수 있었다. 첫번째로 생산된 E46 M3는 라구나

세카 블루로 도색되었고, SMG 드라이브로직 변속기, 클러치 페달이 없는 포뮬라 원 형태의 전기유체식 수동 기어박스,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패들 쉬프터가 특징이었다.

종전 미국형 E46 M3엔진 성능이 유럽 모델에 비해 현저히 축소되서 판매되엇던 것에 반해, E46 M3는 출시당시 유럽형

모델과 같은 엔진 출력을 지니고 출시되었다. 최근 모델은 333마력을 발생시켰는데, 이는 다운파이프의 추가적인 촉매

변환기 장착으로 이해 독인 내수형 모델에 비해 5마력 떨어진 수치이다.

 

E90/92/93 M3/M3 DTM2011 ~

4세대 BMW M3는 2007년 제네바 오토쇼에서 'BMW M3 컨셉트'라는 명칭으로 공개되었다. E46 M3 컨셉트와 E60 M5

컨셉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4세대 M3 컨셉트는 양산형과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양산형 4세대 M3는 2007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셔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다.

4세대 M3의 공개와 동시에 새로운 엔진(BMW S65)도 함께 공개되었다. 이 S65B40엔진은 자연흡기 및 고회전의

4.0리터 V8엔진은 E60/E61과 E63/64 M3에서 사용된 S85B50 507마력 5.0리터 V10 엔진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최대 414마력을 8,300rpm에서 생성시키며, 최대토크는 3,900rpm에서 400Nm을 발생시킨다. 이 엔진은

종전 E46 M3의 직렬 6기통 3.2리터 엔진에 비해 22%가량의 출력 상상을 이뤄냈으며, 202Kg였던 6기통 엔진 무게에 비해 15Kg의 무게가 감소하였다. 6단 수동변속기가 기본으로 탑재되며, 2008년 4월 부터는 새로운 M-DKG또는 M-DCT라고

불리는 듀얼클러치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듀얼 클러치 자동변속기는 수동 변속기에 비해 변속

시간이 0.1초 미만으로 줄어들었으며, 0-100Km 가속을 0.2초 단축시킨다. 또한 E36과 E46의 SMG기어박스처럼 수동과

자동변속 모드를 지원한다. 또한 E92 M3 쿠페는 E46 M3 CSL에 탑재되었던 카본 파이퍼 루프를 옵션으로 탑재하여

무게 경감을 하고자 하였다.

4세대 M3는 E46 M3에 없던 세단형 버전을 다시금 개발하였으나, 대한민국에는 세단형과 컨버터블이 들어오지 않았다.

E90형 3시리즈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헤드램프를 포함한 앞부분을 M3 쿠페와 공유한다.

E92 3M 쿠페에 장착되는 기본 카본파이버 루프는 지원되지 않는다. 2009년 3 시리즈의 앞, 뒷범퍼, 그리고 LED

리어램프의 부분변경으로 E90 M3세단 역시 같은 부분이 변경되었다. 코드네임 E93인 M3 컨버터블은 쿠페출시 직후

발표되었다.

많은 자동차 애호가들 사이에서 경량화 버전인 CSL이 새롭게 출시될지 여부가 오랜 논쟁거리였는데, 새로운 M3 CSL로

추정되는 차량들이 이미 최근 독일 뉘르부르크링 트랙의 노드슈라이페에서 포작되었다.

2013년 7월에 세단형과 쿠페가 단종되었다.

 

F80 M3

5세대 M3

코드네임은 F80으로 2013년 12월에 발표되었다. F30 3시리즈 세단이 베이스로, BMW의 모델체계 분리에 따라 M3는

앞으로 오로지 세단 모델만 출시한다.

기존 M3를 상징하던 쿠페 모델은 F32 4시리즈 쿠페가 출시됨에 따라 별도로 F82 M4 쿠페로 출시된다. 대세에 맞춰

다운사이징한 직렬 6기통 3.0리터 트윈터보 엔진을 적용했으며 7단 M-DCT 듀얼클러치 미션과 조합된다.

M3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유지하기 위하여 보닛에 엔진부근이 불룩 솟아잇으며, 타소섬유 재질의 루프를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엔진은 이전보다 배기량/밸브 숫자가 줄어들었음에도 마력/토크/연비는 상당히 향상되어서 실제로

성능은 더욱 강력해졌다.

 

출처 : 위키백과